리벨리온, SKT 에이닷 서비스 테스트...“소버린 AI 형성”

Jun 25, 2025 IDOPRESS

리벨리온과 SK텔레콤이 리벨리온 아톰맥스를 SK 텔레콤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서비스 등 주요 AI 서비스 등에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에 돌입한다. [사진제공=리벨리온] 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 리벨리온이 SK텔레콤과 함께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등 주요 AI 서비스들에 리벨리온의 NPU(신경망처리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25일 밝혔다.

리벨리온과 SK텔레콤은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아톰(ATOM)’을 탑재한 서버를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 △PASS 스팸필터링 △PASS 금융비서 △엑스칼리버 등에 테스트 중이다. 양사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아톰의 성능 강화판인 ‘아톰 맥스(ATOM-Max)’를 이들 서비스에 연내 상용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톰 맥스는 리벨리온이 이달 출시하는 대규모 AI 추론용 AI 반도체다. 대규모 추론서비스 서빙 능력을 고도화하고 AI 개발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성을 높이는 등 하드웨어를 넘어선 종합적 상용화 역량을 확대했다.

리벨리온 관계자는 “에이닷 전화 통화요약은 SK텔레콤의 LLM(대규모언어모델) 에이닷엑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라며 “국산 AI 반도체인 리벨리온의 아톰과 아톰맥스를 통해 상용 서비스 될 경우 국산 LLM이 국산 NPU를 통해 서비스되는 ‘소버린 AI(국가주권형 AI)’가 이뤄진다는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국산 AI 반도체가 SK텔레콤의 국산 LLM 기반 서비스에 적용될 수 있게 된 것은 기술적 완성도를 넘어 국내 AI 생태계 자립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라며 “리벨리온은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AI 인프라를 통해,대한민국이 AI 세계 3 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민 SK텔레콤 성장사업추진실장은 “국가 간 AI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이 때 국내 AI 생태계 자립성 강화는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AI 데이터센터,LLM,AI 반도체 등을 포함한 국내 AI 생태계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 인공 지능, 에너지 등의 영역에서 최첨단 뉴스를위한 최고의 소스. Arinstar와의 기술의 미래를 탐구하십시오! 정보를 유지하고 영감을 유지하십시오!

빠른 탐색

우리의 선별 된 콘텐츠를 탐색하고, 획기적인 혁신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과학과 기술의 미래로의 여행.

© 한국의 신기술

개인 정보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