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애플이 서울 서초구 사운드360 녹음실에서 애플뮤직 신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김대은 기자 애플뮤직에서 아일릿의 ‘빌려온 고양이’를 재생하자 재생 목록 하단에 ‘Mixing’이라는 글자가 나타났다. 곡이 끝나갈 무렵 분위기가 비슷한 트와이스의 ‘This is For’로 자연스럽게 연결됐다. 두 노래를 모르는 사람이라면 마치 하나의 곡처럼 들릴 정도였다.
이는 16일 애플이 시연회를 열고 선보인 자동 믹스(AutoMix) 기능의 모습이다. 자동 믹스는 인공지능(AI)이 곡의 속도와 박자를 분석해 DJ처럼 한 곡에서 다음 곡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주는 기능이다.
기존에 두 곡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앞의 곡 음량을 서서히 줄여나가고 뒤의 곡 음량을 높이는 ‘크로스페이드’ 기법이 자주 활용됐다. 하지만 자동 믹스는 두 곡의 유사한 점을 찾아내 자연스럽게 연결한다는 점에서 좀 더 진일보한 기능이다.
애플뮤직 자동 믹스 기능. 애플 올해 애플은 iOS 26을 선보이면서 애플뮤직에 AI 기술을 접목한 기능을 다수 추가했다. 자동 믹스 외에도 애플뮤직에 가사 번역 기능이 들어갔다.
가사의 의미를 번역하는 것 외에도 가사의 발음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AI를 통해 가사를 번역하고,이후 통역사가 검수를 맡는 방식이다.
현재는 한국어-영어,한국어-일본어 등 6개 조합만 지원하나,1년 내로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애플뮤직 번역 기능. 애플 이번에 업데이트된 기능 중 눈에 띄는 것은 싱(Sing)이라는 이름의 노래방 기능이다. TV 화면에 가사를 띄워놓고 아이폰으로 QR 코드를 찍어 연동하면 아이폰을 마이크로 활용할 수 있다.
노래를 부르지 않더라도 중간에 이모티콘을 보내서 분위기를 돋우는 기능도 마련됐다. 애플뮤직은 유료 서비스이지만,사람들 중 1명만 구독하면 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뮤직 싱(Sing) 기능. 애플 이외에도 애플은 음원 보관함에 아티스트,앨범,플레이리스트 등을 상단에 최대 6개까지 보여주는 ‘고정’ 기능이나 스포티파이,유튜브 뮤직 등 다른 서비스 음악을 애플뮤직으로 옮겨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